해외 주요국가의 로컬푸드 운동 사례



01. 미국


  • 민간 주도의 100마일 다이어트 운동
  • 연방정부의 주도로 농민시장과 공동체지원농업(CSA), 농장학교연결프로그램(FTS) 지원


02. 영국 


  • 런던푸드위원회 설치(2004) : '런던먹을거리'를 반경 160km 이내로 규정
  • 생산자와 소비자의 직접 연결이 목표 

03. 일본


  • 지산지소운동 : 로컬푸드운동의 일본식 명칭
  • 녹색등 달기 운동 : 외식업체에서 국내산 식재료를 50%이상 사용할 경우 녹색등을 달도록 한 민간운동 (3,287개 업소 참여, 2012년 4월)


세계 농식품체계의 문제점


  • 세계적 식량위기와 식품불안
  • 현재의 세계농식품체계(global agri-food system)는 초국적 농식품복합체에 의해서 주도
  • 이로 인해 농촌경제의 빈곤화와 소도시의 몰락, 농민에게 돌아가는 몫(food dollar)의 감소, 토양침식, 수질오염, 생물종 다양성의 감소와 
    먹거리의 안전을 위협
  • 세계화된 시스템을 위한 생산은 지역경제의 확대나 지역의 식품 필요성과는 점점 괴리
  • 세계농식품체계는 먹거리의 안정적인 확보문제뿐만 아니라, 먹거리의 안전성이나 건강의 문제도 야기
  • 경제의 세계화는 먹거리의 세계화와 균일화를 촉진
  • 먹거리의 지역성이나 계절성이 무시되고, 생산농가에 대해서는 경영불안, 소비자에게는 건강불안을 야기


소비자의 식료품비 지출 중 농민몫의 감소(미국) 



  • 미국의 경우, 소비자가 먹거리에 1달러를 지출할 때 농민에게 돌아가는 몫은 1910년에는
    40센트를 상회했던 것이 1997년에는 7센트를 조금 넘는 정도로 급감


해외의 로컬푸드 운동사례


  • 일본의 로컬푸드운동 - 지산지소운동
  • 미국·영국·캐나다의 농민장터
  • 미국의 지역사회지원농업(CSA)
  • 가공시설공동이용



아오모리현의 지산지소 홍보물




효고현의 지산지소 홍보물




  지역농림수산물의 사용비율 목표 설정(효고현)

  • 2004년도(19.7%) ⇨ 2010년도(25.0%) ⇨ 2015년도(30.0%) 


  지역농림수산물 100%의 날 설정(지역의 현실에 맞춰 목표를 설정)

  • 지역농림수산물 100%의 날
    식재료 전체를 지역산으로 사용(조리에 사용되는 유지류, 조미료류를 제외. 가공품은 주요 원재료가 지역산인 것에 한정.)
  • 지역의 식재료만으로 급식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하고, 지역의 향토식・전통식이나 특산품 등을 사용한 매력적인 메뉴를 제공하여 
    어린이들에게 효고현에 대한 자부심과 애착을 느끼도록 함


지산지소 모델타운의 추진


  • 富山(도야마)縣 氷見市(히미시): 지역의 수요동향을 파악하고, 이에 대응한 생산계획을 세움으로써 안정적인 생산체제구축




일본의 로컬푸드 운동 - 직매소




일본의 로컬푸드 운동 - 농산가공


  • 廣島(히로시마)縣 安藝高田(아키다카다)市 : 지역산 콩을 사용한 두부로 지산지소를 실천
  • 福島(후구시마)縣 安達(아다치)町 : 지역의 농산물을 이용하여 김치 등 가공품을 생산



일본의 로컬푸드 운동 - 학교급식




나가노시의 지산지소 협력점




소비지 슈퍼의 안테나숍 



 
미국의 농민장터(Farmer's Market)


  2006년말 현재 4,400여개


  • 90년대 이후 급속한 증가 추세
  • USDA의 제도적, 재정적 지원
  • 영양보조 프로그램과 연계운영



영국 런던 도심의 농민장터




캐나다 밴쿠버 도심의 농민장터, 공영시장




지역사회지원농업(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)


  • 1986년에 시작된 CSA농장은 2007년 기준으로 1,308개소로 증가



가공시설 공동이용 (미국 크린치-포웰 컴뮤니티 키친) 


  • 소량의 가공품을 생산하는 소규모 농가들을 위해 키친인큐베이터 프로그램의 도입




해외 주요국가의 로컬푸드 운동 사례


     01. 미국

  • 민간 주도의 100마일 다이어트 운동
  • 연방정부의 주도로 농민시장과 공동체지원농업(CSA), 농장학교연결프로그램(FTS) 지원


     02. 영국 

  • 런던푸드위원회 설치(2004) : '런던먹을거리'를 반경 160km 이내로 규정
  • 생산자와 소비자의 직접 연결이 목표 

     03. 일본

  • 지산지소운동 : 로컬푸드운동의 일본식 명칭
  • 녹색등 달기 운동 : 외식업체에서 국내산 식재료를 50%이상 사용할 경우 녹색등을 달도록 한 민간운동 (3,287개 업소 참여, 2012년 4월)


세계 농식품체계의 문제점


  • 세계적 식량위기와 식품불안
  • 현재의 세계농식품체계(global agri-food system)는 초국적 농식품복합체에 의해서 주도
  • 이로 인해 농촌경제의 빈곤화와 소도시의 몰락, 농민에게 돌아가는 몫(food dollar)의 감소, 토양침식, 수질오염, 생물종 다양성의 감소와 먹거리의 안전을 위협
  • 세계화된 시스템을 위한 생산은 지역경제의 확대나 지역의 식품 필요성과는 점점 괴리
  • 세계농식품체계는 먹거리의 안정적인 확보문제뿐만 아니라, 먹거리의 안전성이나 건강의 문제도 야기
  • 경제의 세계화는 먹거리의 세계화와 균일화를 촉진
  • 먹거리의 지역성이나 계절성이 무시되고, 생산농가에 대해서는 경영불안, 소비자에게는 건강불안을 야기


소비자의 식료품비 지출 중 

농민몫의 감소(미국) 


  • 미국의 경우, 소비자가 먹거리에 1달러를 지출할 때 농민에게 돌아가는 몫은 1910년에는40센트를 상회했던 것이 1997년에는 7센트를 조금 넘는 정도로 급감


해외의 로컬푸드 운동사례


  • 일본의 로컬푸드운동 - 지산지소운동
  • 미국·영국·캐나다의 농민장터
  • 미국의 지역사회지원농업(CSA)
  • 가공시설공동이용



아오모리현의 지산지소 홍보물



효고현의 지산지소 홍보물

 지역농림수산물의 사용비율 목표 설정(효고현)

  • 2004년도(19.7%) ⇨ 2010(25.0%) ⇨ 2015(30.0%)

지역농림수산물 100%의 날 설정

     (지역의 현실에 맞춰 목표를 설정)

  • 지역농림수산물 100%의 날
    식재료 전체를 지역산으로 사용(조리에 사용되는 유지류, 조미료류를 제외. 가공품은 주요 원재료가 지역산인 것에 한정.)
  • 지역의 식재료만으로 급식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하고, 지역의 향토식・전통식이나 특산품 등을 사용한 매력적인 메뉴를 제공하여  어린이들에게 효고현에 대한 자부심과 애착을 느끼도록 함


지산지소 모델타운의 추진


  • 富山(도야마)縣 氷見市(히미시): 지역의 수요동향을 파악하고, 이에 대응한 생산계획을 세움으로써 안정적인 생산체제구축



일본의 로컬푸드 운동 - 직매소




일본의 로컬푸드 운동 - 농산가공


  • 廣島(히로시마)縣 安藝高田(아키다카다)市 : 지역산 콩을 사용한 두부로 지산지소를 실천
  • 福島(후구시마)縣 安達(아다치)町 : 지역의 농산물을 이용하여 김치 등 가공품을 생산



일본의 로컬푸드 운동 - 학교급식




나가노시의 지산지소 협력점




소비지 슈퍼의 안테나숍 



 
미국의 농민장터(Farmer's Market)


 2006년말 현재 4,400여개

  • 90년대 이후 급속한 증가 추세
  • USDA의 제도적, 재정적 지원
  • 영양보조 프로그램과 연계운영



영국 런던 도심의 농민장터




캐나다 밴쿠버 도심의 농민장터, 공영시장




지역사회지원농업

(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)


  • 1986년에 시작된 CSA농장은 2007년 기준으로 1,308개소로 증가



가공시설 공동이용 

(미국 크린치-포웰 컴뮤니티 키친) 


  • 소량의 가공품을 생산하는 소규모 농가들을 위해 키친인큐베이터 프로그램의 도입




                 

@Copyright 2009. All Right Reserved. 

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27. aT센터 704호  

전화: 02-6300-2020 

대표자 : 천두영    개인정보책임자 : 이종욱

 사업자등록번호 : 105-82-17802  


         

@Copyright 2009. All Right Reserved. 

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27. aT센터 704호  전화: 02-6300-2020 

대표자 : 천두영  사업자등록번호 : 105-82-17802  개인정보책임자 : 이종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