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1. 목적 


  • 로컬푸드운동의 활동과 그 동안의 문제점도 함께 내보이면서 다가오는 미래의 어려움과 희망을 모든 국민이 함께 고민하고 
    해결해 보자는 취지로 박람회 개최의 필요성이 요구됩니다.
  • 로컬푸드 박람회는 우리 식생활의 과거, 현재, 미래 환경을 거시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, 국민식생활 개선, 
    식량자급률 향상, 저탄소녹색성장, 대한민국 농수축산식품 소비 촉진에 기여 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.
  • 또한, 도시민들에게 로컬푸드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친근성을 높이고 로컬푸드운동의 확산과 발전의 계기를 마련 하고자합니다.


02. 방향 


  • ‘우리 지역에서 생산된 농수축산물의 지역 내 소비’를 장려하는 로컬푸드운동의 의의 전달
  • 일부 농촌지역 지자체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는 로컬푸드운동을 도심지역 지자체와의 연계를 통하여 
    로컬푸드운동의 전국 네트워크화 토대 마련
  • 해외 로컬푸드운동의 사례 제시를 통하여 우리나라 정서에 맞는 국민적 공감대 형성 유도 및 선진 성공사례 벤치마킹
  • 국내외 로컬푸드운동 전문가가 참석하는 국제 심포지엄 개최를 통하여 국민적 관심 고조


03. 로컬푸드 박람회 구성 


  • 로컬푸드 주제관
  • 국가관
  • 기업관
  • 지역관
  • 국제관
  • 미래관
  • 귀농관
  • 시각·촉각 체험관
  • 이벤트관


04. 로컬푸드 박람회 (제1회 박람회: 2012.5) 


  • ‘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지역소비 장려’라는 로컬푸드운동의 의의 전달(일산 킨텍스 전시장)


05. 로컬푸드 국제심포지엄 (제1회 심포지엄: 2012.5) 


로컬푸드운동본부 국제 자문위원 위촉 및 국내 로컬푸드운동 공로자를 시상하고, 국내외 로컬푸드운동 전문가들의 강연과 종합토론 진행


  • 마루야마 키요아키 교수(동경농대), 신카이 쇼지 교수(후쿠오카여대), 최지현 박사(한국농천경제연구원),
    서구원 교수(로컬푸드운동본부 전략연구소장), 나영삼 계장(완주군청 농촌활력과), 이덕배 농업연구관(농촌진흥청) 등 참석



01. 목적 

  • 로컬푸드운동의 활동과 그 동안의 문제점도 함께 내보이면서 다가오는 미래의 어려움과 희망을 모든 국민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 보자는 취지로 박람회 개최의 필요성이 요구됩니다.
  • 로컬푸드 박람회는 우리 식생활의 과거, 현재, 미래 환경을 거시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, 국민식생활 개선, 식량자급률 향상, 저탄소녹색성장, 대한민국 농수축산식품 소비 촉진에 기여 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.
  • 또한, 도시민들에게 로컬푸드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친근성을 높이고 로컬푸드운동의 확산과 발전의 계기를 마련 하고자합니다.


02. 방향 

  • ‘우리 지역에서 생산된 농수축산물의 지역 내 소비’를 장려하는 로컬푸드운동의 의의 전달
  • 일부 농촌지역 지자체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는 로컬푸드운동을 도심지역 지자체와의 연계를 통하여
    로컬푸드운동의 전국 네트워크화 토대 마련
  • 해외 로컬푸드운동의 사례 제시를 통하여 우리나라 정서에 맞는 국민적 공감대 형성 유도 및 선진 성공사례 벤치마킹
  • 국내외 로컬푸드운동 전문가가 참석하는 국제 심포지엄 개최를 통하여 국민적 관심 고조


03. 로컬푸드 박람회 구성 

  • 로컬푸드 주제관
  • 국가관
  • 기업관
  • 지역관
  • 국제관
  • 미래관
  • 귀농관
  • 시각·촉각 체험관
  • 이벤트관


04. 로컬푸드 박람회 (제1회 박람회: 2012.5) 

  • ‘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지역소비 장려’라는 로컬푸드운동의 의의 전달(일산 킨텍스 전시장)


05. 로컬푸드 국제심포지엄 (제1회 : 2012.5) 

로컬푸드운동본부 국제 자문위원 위촉 및 국내 로컬푸드운동 공로자를 시상하고, 국내외 로컬푸드운동 전문가들의 강연과 종합토론 진행


  • 마루야마 키요아키 교수(동경농대), 신카이 쇼지 교수(후쿠오카여대), 최지현 박사(한국농천경제연구원),
    서구원 교수(로컬푸드운동본부 전략연구소장), 나영삼 계장(완주군청 농촌활력과), 이덕배 농업연구관(농촌진흥청) 등 참석 




01. 목적 


  • 로컬푸드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생산자, 소비자, 활동가, 정책결정자가 모여 로컬푸드운동의 국가(지자체) 정책방향, 국내외 운영 사례, 
    운영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등을 고찰함으로써 미래 도래할 수 있는 위기에 대한 대처방안을 모색 하고자 합니다.
  • 또한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국민 개개인의 건강한 식생활 개선, 저탄소녹색성장을 실현해 나갈 수 있는 장을 마련코자 합니다.


02. 방향 


  • 생산자, 소비자, 정책결정자가 참여하는 지역 순회 세미나의 결과물을 토대로 전국대회 개최
  • 생산자는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건강한 농수축산물 식품 생산을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 제고
  • 소비자는 생산자를 배려하는 마음으로 우리 농수축산물 식품 생산을 장려해야 한다는 인식 제고
  • 정책결정자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제시를 해야 한다는 인식 제고


03. 로컬푸드 전국 순회세미나 및 전국대회


  • 충주세미나(2010.9), 홍천세미나(2010.11)
  • 2011 로컬푸드 전국대회(2011.09. 완주)
  • 2012 로컬푸드 전국대회(2012.11. 청송)



01. 목적 

  • 로컬푸드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생산자, 소비자, 활동가, 정책결정자가 모여 로컬푸드운동의 국가(지자체) 정책방향, 국내외 운영 사례, 운영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등을 고찰함으로써 미래 도래할 수 있는 위기에 대한 대처방안을 모색 하고자 합니다.
  • 또한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국민 개개인의 건강한 식생활 개선, 저탄소녹색성장을 실현해 나갈 수 있는 장을 마련코자 합니다.


02. 방향

  • 생산자, 소비자, 정책결정자가 참여하는 지역 순회 세미나의 결과물을 토대로 전국대회 개최
  • 생산자는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건강한 농수축산물 식품 생산을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 제고
  • 소비자는 생산자를 배려하는 마음으로 우리 농수축산물 식품 생산을 장려해야 한다는 인식 제고
  • 정책결정자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제시를 해야 한다는 인식 제고


03. 로컬푸드 전국 순회세미나 및 전국대회

  • 충주세미나(2010.9), 홍천세미나(2010.11)
  • 2011 로컬푸드 전국대회(2011.09. 완주)
  • 2012 로컬푸드 전국대회(2012.11. 청송)




01. 목적 


  • 건강하고 친근한 녹색식생활을 실천함으로써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하고, 우리의 환경을 보호하며, 좋은 먹거리를 꾸준히 제공할 수 있는 
    환경을 만드는데 있으며, 이는 로컬푸드 전반에 걸쳐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고 이를 실천하는 하는 범국민 캠페인이다.


02. 방향 


  • 지역 농수축산식품의 소비활성화 유도 및 식량자급률 향상,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푸드운동 홍보
  • ‘Friendly Local Food’라는 슬로건으로 내 몸에 가까운 로컬푸드의 인식 제고 및 친근감 향상
  • 로컬푸드운동본부 내 지역본부를 거점으로 지역단위별 전진대회 추진함으로써 로컬푸드 인지도 향상
  • 지역본부 단위의 ‘채소모종 나눔행사’ 개최로 국민적 관심 증폭
  • 지역 영농조합과 연계한 제철꾸러미, 도시농업, 직거래장터 등 거리 캠페인 추진
  • 녹색식생활교육박람회, KFS 등 농수축산물 식품 관련 박람회 참가로 로컬푸드 적극 홍보
  • 공신력 있는 로컬푸드 브랜드 제작 추진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상호 신뢰감 조성
  • 로컬푸드 브랜드 제작(기획, 디자인), 브랜드 매뉴얼 북 제작, 사후관리 등을 통해 로컬푸드 브랜드의 완성도를 높이고, 로컬푸드 소비활성화에 기여

  로컬푸드 아이데이션

1
나와 가까운 곳에서 
생산되는 음식
2
소비자의 건강까지 
생각하는 친절한 음식
3
환경보호에 도움이
되는 우호적인 음식
4
생산자의 소득을 높여 주는 우호적인 음식
5
도시에서도 재배되는 
가까운 음식
6
자연에 가까운 음식 




03. 박람회 참여를 통한 로컬푸드 홍보활동


  • 녹색식생활박람회(2011, 2012)
  • 도시농업박람회(2012.06.)


04. 채소모종 무료나눔행사


  • 도시민에게 농업에 대한 친근감을 높이고, 로컬푸드운동의 의의 적극 홍보 (2010 ~ 진행 중)



01. 목적 

  • 건강하고 친근한 녹색식생활을 실천함으로써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하고, 우리의 환경을 보호하며, 좋은 먹거리를 꾸준히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있으며, 이는 로컬푸드 전반에 걸쳐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고 이를 실천하는 하는 범국민 캠페인이다.


02. 방향 

  • 지역 농수축산식품의 소비활성화 유도 및 식량자급률 향상,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푸드운동 홍보
  • ‘Friendly Local Food’라는 슬로건으로 내 몸에 가까운 로컬푸드의 인식 제고 및 친근감 향상
  • 로컬푸드운동본부 내 지역본부를 거점으로 지역단위별 전진대회 추진함으로써 로컬푸드 인지도 향상
  • 지역본부 단위의 ‘채소모종 나눔행사’ 개최로 국민적 관심 증폭
  • 지역 영농조합과 연계한 제철꾸러미, 도시농업, 직거래장터 등 거리 캠페인 추진
  • 녹색식생활교육박람회, KFS 등 농수축산물 식품 관련 박람회 참가로 로컬푸드 적극 홍보
  • 공신력 있는 로컬푸드 브랜드 제작 추진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상호 신뢰감 조성
  • 로컬푸드 브랜드 제작(기획, 디자인), 브랜드 매뉴얼 북 제작, 사후관리 등을 통해 로컬푸드 브랜드의 완성도를 높이고, 로컬푸드 소비활성화에 기여

  로컬푸드 아이데이션

1
나와 가까운 곳에서 
생산되는 음식
2
소비자의 건강까지 
생각하는 친절한 음식
3
환경보호에 도움이
되는 우호적인 음식
4
생산자의 소득을 높여 주는 우호적인 음식
5
도시에서도 재배되는 
가까운 음식
6
자연에 가까운 음식 


03. 박람회 참여를 통한 로컬푸드 홍보활동

  • 녹색식생활박람회(2011, 2012)
  • 도시농업박람회(2012.06.)


04. 채소모종 무료나눔행사

  • 도시민에게 농업에 대한 친근감을 높이고, 로컬푸드운동의 의의 적극 홍보 (2010 ~ 진행 중)




01. 목적 


  • 다양한 지역과 분야에서 로컬푸드를 실천하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로컬푸드 아카데미 과정으로 로컬푸드에 대한 정확한 이해, 
    로컬푸드의 상품화에 대한 컨설팅, 국내외 선진사례 및 견학을 통하여 실제 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과 로컬푸드운동 활성화의 
    현장 전문요원으로 활용하고자 합니다.


02. 방향 


  • 농수축산식품 생산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로컬푸드의 이론과 현장 노하우를 접목한 합리적인 교육실시
  • 농수축산식품의 소비 촉진을 위한 상품화 컨설팅 지원
  • 양성된 전문가를 통하여 합리적·효율적 생산·유통시스템의 전달교육을 함으로써 생산자가 체감할 수 있는 도움 제공 및 
   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농수축산식품 생산유도로 소비 촉진




01. 목적

  • 다양한 지역과 분야에서 로컬푸드를 실천하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로컬푸드 아카데미 과정으로 로컬푸드에 대한 정확한 이해, 로컬푸드의 상품화에 대한 컨설팅, 국내외 선진사례 및 견학을 통하여 실제 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과 로컬푸드운동 활성화의 현장 전문요원으로 활용하고자 합니다.


02. 방향 

  • 농수축산식품 생산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로컬푸드의 이론과 현장 노하우를 접목한 합리적인 교육실시
  • 농수축산식품의 소비 촉진을 위한 상품화 컨설팅 지원
  • 양성된 전문가를 통하여 합리적·효율적 생산·유통시스템의 전달교육을 함으로써 생산자가 체감할 수 있는 도움 제공 및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농수축산식품 생산유도로 소비 촉진

                 

@Copyright 2009. All Right Reserved. 

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27. aT센터 704호  

전화: 02-6300-2020 

대표자 : 천두영    개인정보책임자 : 이종욱

 사업자등록번호 : 105-82-17802  


         

@Copyright 2009. All Right Reserved. 

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27. aT센터 704호  전화: 02-6300-2020 

대표자 : 천두영  사업자등록번호 : 105-82-17802  개인정보책임자 : 이종욱